1. upper / lower 문자열.upper() “abcd”.upper() “ABCD” 문자열.lower() “ABCD”.lower() “abcd” 2. find() / index() 특정 데이터를 찾아서 그 시작점의 인덱스를 리턴해주는 method 찾는 데이터가 없을 때 find() : -1 리턴 index() : ERROR 3. count 특정 문자열이나 숫자의 개수를 셀 때 사용 str([1,2,3,4,5]).count(’ ‘) list는 콤마 다음에 공백이 없더라도 공백으로 인식함 4. strip() 데이터 양 쪽의 공백과 특정 문자를 제거해주는 method ' ,!! hello world '.strip(' ,!') #양쪽의 공백과 ',!'을 제거해주는 method 5. replace 문자열...
변수 id ~5부터 256까지를 미리 메모리에 올려놓고 사용 그래서 해당 범위에서는 id가 같게 나오고, 그 범위를 벗어날 경우 다른 id로 나옴 이유 Python은 자체적으로 속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들을 해왔습니다. (아래 언급한 것 말고도 각각의 자료형에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구버전도 말씀을 드릴 것인데 이유는 여러분이 실무에가서 접할 환경이 최신 버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야xx의 경우에는 Django 1.x, python 2.x를 사용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기업들이 한 번 구축해놓은 시스템은 바꾸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5 ~256은 메모리에 먼저 적재를 합니다 가변객체와 불변객체에 따라 변수의 값(value)를 바꿨을 때 id가 바뀌는지 ..
colab 사용법 실행 단축키 (필수) Ctrl(Command) + Enter : 해당 셀 실행 Shift + Enter : 해당 셀 실행 + 커서를 다음 셀로 이동 (필수) Alt(Option) + Enter : 해당 셀 실행 + 코드 불록 하단 추가 셀 삽입/삭제 관련 단축키 Ctrl(Command) + M A : 코드 셀 위에 삽입 Ctrl(Command) + M B : 코드 셀 아래 삽입 Ctrl(Command) + M D : 셀 지우기 Ctrl(Command) + M Y : 코드 셀로 변경 Ctrl(Command) + M M : 마크다운 셀로 변경 Ctrl(Command) + M Z : 실행 취소 수정 관련된 단축키 Ctrl(Command) + Alt(Option) + 화살표위아래 : 동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