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로그인 요청 과정에 대한 간단한 설명 프론트엔드에서 인가용 코드(code)를 전달받는 상황에서 로그인&회원가입용 정보를 받아 리턴하는 과정이다! 코드를 프론트에서 전달받은 후, 카카오 로그인 문서에서 볼 수 있듯 URI로 인가 코드를 이용한 요청을 통해 토큰을 요청해야 한다.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request-token Kakao Developers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developers.kakao.com이때 REST API 요청을 보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것은 `WebClient`와 ..
`The plain HTTP request was sent to HTTPS port nginx/1.24.0 (Ubuntu)`에러를 잡기 위해서 정말 몇날며칠을 고민했는데...!!!인터넷에 나온 모든 방법을 해보고 nginx의 설정 파일도 계속 고치고 했는데 어떻게 해도 고칠 수 없었다...그러다 우연하게https://docs.apigee.com/api-platform/troubleshoot/runtime/400-bad-request-plain-http-request-sent-to-https-port 400 잘못된 요청 - 일반 HTTP 요청이 HTTPS 포트로 전송됨 | Apigee Edge | Apigee Docs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 의견 보..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1장 스프링부트1. 의존성 관리 간소화 – 스타터(Starter)스프링 부트는 반복적인 의존성 설정 작업을 간소화해준다.대표적으로 spring-boot-starter-web 같은 스타터(Starter) 의존성 하나만 추가하면, 웹 개발에 필요한 여러 라이브러리가 한꺼번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 스타터 하나만으로 다음과 같은 의존성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Spring MVC* Jackson (JSON 처리)* Embedded Tomcat (내장 서버)또한, 스프링 부트는 라이브러리 간 버전 호환성까지 자동으로 맞춰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일일이 각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관리할 필요가 없다. 필요하다면 build.gradle 혹은 pom.xml에서 특정 라이브러리만 ..